저도 같은 이유로 보조 리모컨을 구입할 생각은 하지 않고 있다가 최근에 한 손용 블루투스 조이스틱을 그림용으로 사용하면 좋다는 이야기를 들었었습니다.
원래 글에는 아마존에서 약 10달러에 구입했다는 내용이었지만.... 딱 봐도 중국산 싸구려 같아 보여서 알리익스프레스에서 해당 제품을 찾아보았습니다.
역시 알리익스프레스에서는 밥 한끼 가격(대략 6천원) 정도밖에 되지 않아 뭔가 엄청 이득 본 느낌이라 뒤도 안 돌아보고 샀습니다.
제품명은 ACGAM R1 컨트롤러이고 블루투스로 연결합니다. 마이크로 USB 충전 단자가 있습니다.
총 6개의 버튼이 있으며 1개의 스틱이 있습니다. M버튼은 모드 변경용으로 사용합니다. (마우스모드/방향키모드/카메라 리모콘 모드 등)
원래 용도는 Gear VR같은 핸드폰용 VR 컨텐츠에 한 손 리모콘 용으로 제작된 것 같습니다. 매뉴얼에서도 딱히 윈도우 탑재 기기에서 사용하는 것은 가정하고 있지 않은 걸 보니...
블루투스 페어링은 잘 되나, 윈도우에서는 컴퓨터 재부팅 또는 기기 전원을 껐다 켜면 페어링됨-연결됨-페어링됨-연결됨 무한반복에 빠지는 문제가 있습니다. 기기삭제후 다시 연결하면 다시 작동합니다.
컴퓨터에 연결이 된 후, M버튼을 누른 채로 B버튼을 누르면 조이스틱 모드로 동작하며 윈도우에서 조이스틱으로 인식합니다.
윈도우 기본 드라이버에서 버튼 순서 배치는 다음과 같습니다.
R2=Joy7
스틱=JoyX/JoyY
재질과 소재, 버튼 재질 등은 괜찮습니다. 동그란 큰 구멍에 손가락을 넣는다기 보다는 주위를 감싸 잡는 편이 더 잡기 편합니다.
아날로그(?) 스틱은 상당히 부실합니다. R3/L3같은 누르는 입력 장치도 없으며 아날로그 스틱이라기보다는 버튼처럼 동작합니다. (위/아래/좌/우만 나눠져 입력됨.) 어쩐 이유에선지 아래 대각선은 입력이 되고 위 대각선은 입력이 되지 않습니다.
R1/R2 위치에 있는 두 버튼은 동시에 입력이 되지 않습니다.
조이스틱 "리뷰"는 여기까지입니다. 예상대로 6천원짜리 싸구려답게 여기저기 허접한 부분들이 많이 보이지만 제가 사용하려는 목적에서는 그냥 무선이고 버튼 달린 기기이기만 하면 아무 상관이 없기 때문에 큰 문제가 없습니다. (R1/R2 동시입력 안 되는 점과 페어링 이상하게 되는 점은 뼈아프지만 너무 불편한 정도는 아니니 넘어갑니다.)
아날로그 스틱이 요상하게 안 좋은 것도 제 용도에는 더 맞는 면도 있는데 키 할당이 명백하게 되기 때문에 오히려 좋습니다.
이제 본격적으로 이 제품을 윈도/클립스튜디오 등 윈도우용 툴 환경에서 사용하는 법을 설명하겠습니다.
굳이 이 제품이 아니더라도 Autohotkey에서 Joystick 입력으로 인식이 된다면 스크립트를 약간씩 수정하여 적용이 가능합니다.
제목과 방금 전에 말씀드린대로 저는 Autohotkey라는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조이스틱 버튼을 키보드 버튼으로 리매핑했습니다. (https://www.autohotkey.com/) 매크로 계열에서는 가장 유명한 프로그램이며 .ahk 확장자를 실행하여 매크로를 실행 상태로 둘 수 있고, 매크로를 시작프로그램으로 지정하는것도 가능합니다.
스크립트 .ahk파일
스틱 방향입력을 버튼으로 바꾸는 부분은 오토핫키 공식 가이드를 살짝 바꿔서 사용했습니다. (https://autohotkey.com/docs/misc/RemapJoystick.htm "Joystick axes" 단락)
저는 오른손잡이이기 때문에 왼손에 쥐고 사용하는 것을 전제로 만들었습니다. 매크로 파일을 설명드리면
R1: 컨트롤키
R2: Shift키
위: z (주로 Ctrl+z 용으로 사용)
우: d (주로 Ctrl+d 용으로 사용, 선택 취소)
좌: s (선택, 가끔 Ctrl+s용으로 사용)
아래: y (주로 Ctrl+y 용으로 사용, 반복)
A: e (지우개)
B: b (브러쉬)
D: l (올가미 선택)
C: Alt 키
저는 클립스튜디오에서 약간 포토샵에 가깝게 바꾼 키바인드를 사용하며, 식자작업이 필요치 않은 환경에서 주로 사용하는 키를 맵핑했습니다.
위 매핑은 제 사용패턴을 기반으로 만든 것이기 때문에 편하신 대로 바꿔 사용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간략하게 설명을 드리면
Joy1::Send {b} ;B
이는 조이스틱의 버튼 B(Joy1)를 누르면 키보드 키 b를 누르는 것이기 때문에 단순하게 매핑되어있습니다. 하지만 Alt/Shift/Ctrl키의 경우,
Joy8::
Send {Ctrl down}
KeyWait Joy8
Send {Ctrl up}
return ; R1
과 같이 Ctrl/Alt/Shift는 "누른 채로" 다른 키를 입력해야 하기 때문에 Down/Up이 따로 매핑돼있습니다.
조이스틱 부분은 상당히 길지만, 일부만 발췌해서 설명드리면
if JoyX = 100 ;right
KeyToHoldDown = d
else if JoyX = 0 ;left
KeyToHoldDown = s
else if JoyY = 100 ;down
KeyToHoldDown = y
else if JoyY = 0
KeyToHoldDown = z
else
KeyToHoldDown =
즉 JoyX, X축 방향이 끝까지 오른쪽으로 가면 d, 왼쪽으로 끝까지 가면 s를 입력하는 등이 매핑돼있습니다. =100 부분은 R1 컨트롤러 특성상 스틱이 모 아니면 도 식으로 입력이 되기 때문에 이렇게 설정한 것으로, 오토핫키 홈페이지의 원본 스크립트에서는 값이 70 초과/30 미만이면 입력되도록 설정되어있습니다.
이와 같이 세팅하고 키보드가 없는 환경에서 액정타블렛을 사용해보니 확실히 편리합니다.
계속 식자를 해야 하는 경우에는 어쩔 수 없이 키보드를 두고 작업하는 것이 맞겠지만 선화 작업에서는 거의 식자가 필요없기 때문에 저 정도 숫자의 단축키만을 사용해도 충분한 것 같습니다.
오래 걸리는 해외배송이기는 하지만 배송비까지 만원도 되지 않는 가격으로 얻을 수 있는 편의가 큰 것을 생각하면 괜찮다고 생각됩니다.
액정타블렛 종류를 이용하여 그림 그리시는 분들 중 리모콘이 필요하지만 몇 만원을 쓰기는 부담스럽다고 생각되시고 저런 스크립트를 만지는 것이 괜찮으신 분들은 (굳이 저 제품이 아니더라도) 싸구려 블루투스 조이스틱 구입을 고려해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
https://signfang.tistory.com/319
유사한 블루투스 컨트롤러인 8Bitdo Zero 2 제품을 구입하고 리뷰를 작성했습니다.
R1 컨트롤러보다는 가격이 좀 비싼 편이지만 완성도 면에서 비교가 되지 않는 수준으로 좋고 국내 정발도 되어 있으니 이 쪽을 더 추천합니다.
'전자기기 리뷰, 가이드 > 그림 보조도구 및 스크립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Gamesir Z2 구매 후기 (비추천) (0) | 2019.12.15 |
---|---|
갤럭시북2 / 서피스 프로 X 등에서 그림프로그램 호환성 (0) | 2019.12.08 |
클립스튜디오, 포토샵 자동 한영전환 스크립트 소개 (0) | 2019.11.30 |
노트북 펜 시리즈에서 에어커맨드 비활성화하기 (1) | 2019.11.30 |
갤럭시 북 12 리뷰+만화 콘티작업 소감 (9) | 2018.09.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