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멘터리 계열 유튜브용 영상들과 트위치 등에서 진행되는 인터넷 생방송은 얼핏 보기에는 유사하지만 실제로는 대단히 큰 차이가 있다.

개별 영상별 조회수가 생명인 유튜브 영상에서는 시청자를 영상 페이지에 유지하기 위해서 훨씬 더 텐션이 높은 상태로 계속 유지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실제 영상 길이의 거의 10배~100배에 달하는 원본 영상 중 재밌고 신나는 부분, 즉 텐션이 높은 부분만을 편집하여 기승전결까지 가지는 구조로 만들어내는 작업이 필수적으로 수반된다. 이 편집 작업은 (영화 등과 같은 타 영상 매체와 마찬가지로) 때로는 원본 영상을 제작하는 것보다도 훨씬 더 많은 시간 투자를 필요로 한다. 트위치 등의 스트리밍 플랫폼이 완전한 주류로 떠오르기 전 게임플레이 계열 영상은 대부분 이런 형태였으며 많은 "유튜버"가 이런 식으로 처음부터 편집을 전제한 영상을 제작하여 기승전결 구조를 만드는 일이 빈번했었다.

반면 인터넷 생방송/스트리밍은 말 그대로 방송 진행자와 시청자가 동일한 시간에 동일한 만큼의 진행상황을 공유한다. 텐션이 높게 유지될 필요도 없으며, 영상 편집 또한 필요하지 않다. 진행자가 하고 있는 일 자체가 그대로 컨텐츠가 된다. 하지만 시청자가 채팅을 할 수 있는 생방송이라는 특성상 실시간으로 "얼굴 없는" 수십, 많게는 수백명에서 수천명에 이르는 익명의 시청자들과 방송 진행자간의 관계를 어떻게 설정하고 어떻게 소통할 것이며 돌발 상황에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게 되고, 또한 편집에 들어가는 시간적, 금전적 투자가 없는 것은 좋은 점이지만 스트리밍은 수익을 안정적으로 내는 궤도에 진입하기가 유튜브보다도 훨씬 까다롭다. 이에 대한 보조 격으로 스트리머들 또한 대부분 유튜브 채널을 가지고 있으나, 대부분 "영상 한 편"으로 제작될 것을 전제하지 않은 통짜 스트리밍을 텐션이 높은 부분만을 편집하여 이어 붙인 "스트리밍 하이라이트" 영상을 업로드하는 것에 가깝다. (또는 하스스톤 등과 같은 1판 플레이 시간이 비교적 짧은 것은 몇 판 단위로 자른 영상)


인터넷 방송인 "케인"은 이러한 전혀 다른 두 가지 스타일의 플랫폼의 서로 다른 특성에 맞춰 컨텐츠 제작이 가능한 몇 안 되는 스트리머이다. "유튜브 영상"과 "트위치 생방송"의 특성이 다른 점을 잘 이해하고 있으며, 이러한 플랫폼 별 특성에 따라 유기적으로 자신과 방송의 텐션을 변화시키는 능력을 가졌다.

처음 방송을 시작하면 식사나 화면 셋팅 등 준비 과정을 거치며, "유튜브용" 영상 부분부터는 눈에 띄게 방송의 텐션을 올린다. 유튜브용 영상 부분이 끝나면 다시 텐션을 낮추어 시청자들과 잡담을 하는 마무리 시간이 된다. 이렇게 유기적으로 방송의 텐션을 변화시키는 과정에서 다른 방송에서는 볼 수 없는 대단히 독특한 시청 경험을 제공하는데, 바로 생방송 시청자들에게 마치 자신들이 "백스테이지"에 있는 듯한 느낌을 준다는 점이다.


이러한 방송 구조는 필요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만들어졌다고 생각되는데, 케인은 본인의 "썰방" 영상에서 유튜브용 영상 편집자를 구하기 전에는 자신이 직접 영상을 편집했다고 밝힌 바가 있다. 10분 내외의 "하이라이트"를 만들기 위해서는 앞서 이야기했다시피 지나치게 많은 편집 시간이 필요하며, 이를 타협해서 약 30분~1시간짜리 영상을 만들려고 해도 편집에서 들이는 수고를 줄이기 위해서는 자연스럽게 "하이텐션" 파트를 따로 제작하는 것이 훨씬 수월하다는 것을 자신도 알고 있었으리라고 본다.



또한 이는 케인 본인의 성격과 생방송을 주도하는 방식, 주로 제작하는 컨텐츠인 "고전게임"과 "썰방", "고민상담" 컨텐츠의 특성과 매우 높은 시너지를 발휘하게 된다. 케인은 평균적인 스트리머보다 연령대가 높은 편이며, 이야기를 풀어내는 솜씨와 연기력 또한 수준급이다.  또한 앞서 이야기한 "수많은 익명의 얼굴 없는 시청자들"과 방송 진행자인 자신의 관계를 "시청자 나부랭탱이/먼지탱이"와 "케황"과 같이 표현하고는 하는데, 이는 절대적으로 방송 진행자에게 불리한 "다수의 익명 시청자vs얼굴과 이름이 공개된 진행자"의 대치상황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키기 위한 효율적인 수단임과 동시에 케인이 가진 "형님" 이미지를 강화시킨다. 여기에 향수를 자극하는 옛날 게임과 마치 술자리에서 듣는 것 같은 이야기 방송, 고민상담과 같은 컨텐츠들은 시청자들로 하여금 케인을 "고전게임 스트리머"와 같이 객관화하기보다는 "오락실 가기 좋아하고 말 잘하는 형"과 같은 친밀감있는 이미지로 인식하게 한다. 시청자들을 얼마나 자신의 편으로 끌어들일 수 있는가가 성공의 척도라고 볼 수 있는 스트리머 업계에서 이는 매우 큰 장점이라고 할 수 있다.


다만 우려되는 점은 이러한 형태의 소통이 생방송 시청자 규모가 어느 정도 이상이 되면 유지되기 어려울 수가 있다는 점이다. 앞서 이야기한 장점들을 강화시키는 매우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케인이 도네이션 메시지나 채팅에 대한 리액션이 대단히 좋은 편이라는 점인데, 인기를 많이 끌어 순수하게 채팅창과 도네이션이 지금의 10배가 된다면 물리적으로 현재와 같은 리액션 유지가 어려울 수 밖에 없고, 현재 케인의 생방송이 가진 이러한 매우 독특한 매력 또한 줄어들게 된다. 갑자기 인기를 끌어 평소 받던 손님보다 10배가 넘는 숫자가 오게 된 맛집이 늘어난 손님을 감당하지 못하여 그 맛을 유지하지 못하게 된 사례와 유사하다.


하지만 이는 극단적인 상황을 전제한 것이며, 케인 자신이 방송인의 불문율, 컨텐츠 제작 시스템과 본인의 매력에 대한 이해도가 높기 때문에 의외의 변수가 생기지 않는 한 앞으로도 인기가 급격하게 식을 일은 없을 것으로 본다. 새로운 컨텐츠나 채널의 발전 방향성으로는 (생방송에서도 케인 본인이 원하는 사항으로 언급된 내용이지만) 본인이 즐기지만 컨텐츠 용으로는 하기 어려운 최신게임의 하이라이트를 편집할 추가 편집자 구인과 같은 것이 있지 않을지.




케인TV 트위치 채널: https://www.twitch.tv/kanetv8


케인TV 유튜브 채널: https://www.youtube.com/channel/UC0aKwoKNeqBaUwiEXmkQaGQ


신티크/갤럭시북/모바일스튜디오 등등 액정타블렛 사용자분들은 아시겠지만, 아무리 터치 인터페이스에 최적화된 툴을 사용한다고 해도 그림을 그릴 때 키보드가 없는게 의외로 상당히 불편합니다.

키보드를 액정타블렛 옆에 같이 놓으려니 책상 공간이 부족하거나, 아니면 공간이 부족하지 않아도 일일히 쓰던 키보드를 옮기는 과정이 귀찮기 때문에 많은 분들이 MMORPG용으로 나온 레이저 타르타로스같은 마우스 형태 미니키보드를 쓰시거나 혹은 Clip Studio Tabmate 등과 같은 전용 드로잉 리모콘을 구입하시곤 합니다.

하지만 타르타로스도 약 10만원정도 가격이라 부담이 되고, Tabmate는 비교적 저렴하지만 약 5만원 정도 가격이라 역시 선뜻 구매하기엔 어려운 편입니다.


저도 같은 이유로 보조 리모컨을 구입할 생각은 하지 않고 있다가 최근에 한 손용 블루투스 조이스틱을 그림용으로 사용하면 좋다는 이야기를 들었었습니다.



원래 글에는 아마존에서 약 10달러에 구입했다는 내용이었지만.... 딱 봐도 중국산 싸구려 같아 보여서 알리익스프레스에서 해당 제품을 찾아보았습니다.


역시 알리익스프레스에서는 밥 한끼 가격(대략 6천원) 정도밖에 되지 않아 뭔가 엄청 이득 본 느낌이라 뒤도 안 돌아보고 샀습니다.






제품명은 ACGAM R1 컨트롤러이고 블루투스로 연결합니다. 마이크로 USB 충전 단자가 있습니다.


총 6개의 버튼이 있으며 1개의 스틱이 있습니다. M버튼은 모드 변경용으로 사용합니다. (마우스모드/방향키모드/카메라 리모콘 모드 등)


원래 용도는 Gear VR같은 핸드폰용 VR 컨텐츠에 한 손 리모콘 용으로 제작된 것 같습니다. 매뉴얼에서도 딱히 윈도우 탑재 기기에서 사용하는 것은 가정하고 있지 않은 걸 보니...


블루투스 페어링은 잘 되나, 윈도우에서는 컴퓨터 재부팅 또는 기기 전원을 껐다 켜면 페어링됨-연결됨-페어링됨-연결됨 무한반복에 빠지는 문제가 있습니다. 기기삭제후 다시 연결하면 다시 작동합니다. 


컴퓨터에 연결이 된 후, M버튼을 누른 채로 B버튼을 누르면 조이스틱 모드로 동작하며 윈도우에서 조이스틱으로 인식합니다.



윈도우 기본 드라이버에서 버튼 순서 배치는 다음과 같습니다.


A=Joy5&10 (두 버튼이 동시에 입력됨)

B=Joy1

C=Joy4&9

D=Joy2

R1=Joy8

R2=Joy7

스틱=JoyX/JoyY


재질과 소재, 버튼 재질 등은 괜찮습니다. 동그란 큰 구멍에 손가락을 넣는다기 보다는 주위를 감싸 잡는 편이 더 잡기 편합니다.


아날로그(?) 스틱은 상당히 부실합니다. R3/L3같은 누르는 입력 장치도 없으며 아날로그 스틱이라기보다는 버튼처럼 동작합니다. (위/아래/좌/우만 나눠져 입력됨.) 어쩐 이유에선지 아래 대각선은 입력이 되고 위 대각선은 입력이 되지 않습니다.


R1/R2 위치에 있는 두 버튼은 동시에 입력이 되지 않습니다.


조이스틱 "리뷰"는 여기까지입니다. 예상대로 6천원짜리 싸구려답게 여기저기 허접한 부분들이 많이 보이지만 제가 사용하려는 목적에서는 그냥 무선이고 버튼 달린 기기이기만 하면 아무 상관이 없기 때문에 큰 문제가 없습니다. (R1/R2 동시입력 안 되는 점과 페어링 이상하게 되는 점은 뼈아프지만 너무 불편한 정도는 아니니 넘어갑니다.)


아날로그 스틱이 요상하게 안 좋은 것도 제 용도에는 더 맞는 면도 있는데 키 할당이 명백하게 되기 때문에 오히려 좋습니다.



이제 본격적으로 이 제품을 윈도/클립스튜디오 등 윈도우용 툴 환경에서 사용하는 법을 설명하겠습니다.


굳이 이 제품이 아니더라도 Autohotkey에서 Joystick 입력으로 인식이 된다면 스크립트를 약간씩 수정하여 적용이 가능합니다.



제목과 방금 전에 말씀드린대로 저는 Autohotkey라는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조이스틱 버튼을 키보드 버튼으로 리매핑했습니다. (https://www.autohotkey.com/) 매크로 계열에서는 가장 유명한 프로그램이며 .ahk 확장자를 실행하여 매크로를 실행 상태로 둘 수 있고, 매크로를 시작프로그램으로 지정하는것도 가능합니다.


스크립트 .ahk파일


스틱 방향입력을 버튼으로 바꾸는 부분은 오토핫키 공식 가이드를 살짝 바꿔서 사용했습니다. (https://autohotkey.com/docs/misc/RemapJoystick.htm "Joystick axes" 단락)


저는 오른손잡이이기 때문에 왼손에 쥐고 사용하는 것을 전제로 만들었습니다. 매크로 파일을 설명드리면


R1: 컨트롤키


R2: Shift키


위: z (주로 Ctrl+z 용으로 사용)


우: d (주로 Ctrl+d 용으로 사용, 선택 취소)


좌: s (선택, 가끔 Ctrl+s용으로 사용)


아래: y (주로 Ctrl+y 용으로 사용, 반복)


A: e (지우개)


B: b (브러쉬)


D: l (올가미 선택)


C: Alt 키




저는 클립스튜디오에서 약간 포토샵에 가깝게 바꾼 키바인드를 사용하며, 식자작업이 필요치 않은 환경에서 주로 사용하는 키를 맵핑했습니다.


위 매핑은 제 사용패턴을 기반으로 만든 것이기 때문에 편하신 대로 바꿔 사용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간략하게 설명을 드리면


Joy1::Send {b} ;B


이는 조이스틱의 버튼 B(Joy1)를 누르면 키보드 키 b를 누르는 것이기 때문에 단순하게 매핑되어있습니다. 하지만 Alt/Shift/Ctrl키의 경우,


Joy8::
Send {Ctrl down}
KeyWait Joy8
Send {Ctrl  up}
return ; R1


과 같이 Ctrl/Alt/Shift는 "누른 채로" 다른 키를 입력해야 하기 때문에 Down/Up이 따로 매핑돼있습니다.



조이스틱 부분은 상당히 길지만, 일부만 발췌해서 설명드리면


if JoyX = 100 ;right
    KeyToHoldDown = d
else if JoyX = 0 ;left
    KeyToHoldDown = s
else if JoyY = 100 ;down

    KeyToHoldDown = y
else if JoyY = 0
    KeyToHoldDown = z
else
    KeyToHoldDown =


즉 JoyX, X축 방향이 끝까지 오른쪽으로 가면 d, 왼쪽으로 끝까지 가면 s를 입력하는 등이 매핑돼있습니다. =100 부분은 R1 컨트롤러 특성상 스틱이 모 아니면 도 식으로 입력이 되기 때문에 이렇게 설정한 것으로, 오토핫키 홈페이지의 원본 스크립트에서는 값이 70 초과/30 미만이면 입력되도록 설정되어있습니다. 





이와 같이 세팅하고 키보드가 없는 환경에서 액정타블렛을 사용해보니 확실히 편리합니다.


계속 식자를 해야 하는 경우에는 어쩔 수 없이 키보드를 두고 작업하는 것이 맞겠지만 선화 작업에서는 거의 식자가 필요없기 때문에 저 정도 숫자의 단축키만을 사용해도 충분한 것 같습니다.


오래 걸리는 해외배송이기는 하지만 배송비까지 만원도 되지 않는 가격으로 얻을 수 있는 편의가 큰 것을 생각하면 괜찮다고 생각됩니다.


액정타블렛 종류를 이용하여 그림 그리시는 분들 중 리모콘이 필요하지만 몇 만원을 쓰기는 부담스럽다고 생각되시고 저런 스크립트를 만지는 것이 괜찮으신 분들은 (굳이 저 제품이 아니더라도) 싸구려 블루투스 조이스틱 구입을 고려해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


https://signfang.tistory.com/319



유사한 블루투스 컨트롤러인 8Bitdo Zero 2 제품을 구입하고 리뷰를 작성했습니다. 

R1 컨트롤러보다는 가격이 좀 비싼 편이지만 완성도 면에서 비교가 되지 않는 수준으로 좋고 국내 정발도 되어 있으니 이 쪽을 더 추천합니다.

+ Recent posts